지정문화재 2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메인메뉴
쌍계사
도량안내
선원/승가대/율원
템플스테이
종무소
성보박물관
지대방
쌍계사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쌍계사
쌍계사 기문
쌍계사 시문
역대조사
방장스님
주지스님 인사말
찾아오시는 길
도량안내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쌍계사 도량
도량안내도
금당
쌍계사 주련
쌍계사 암자
지정문화재
쌍계사 말사
선원/승가대/율원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금당선원
쌍계사승가대학
율학승가대학원
템플스테이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템플스테이 안내
프로그램 안내
신청하기
묻고답하기
포토앨범
시설안내
참가후기
동영상
자원봉사신청
종무소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공지사항
법회
기도안내
행사일정
미디어 속의 쌍계사
성보박물관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박물관 소개
소장유물정보
지대방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자유게시판
포토앨범
법문
생활속의 불교
불교자료실
동영상 게시판
격월간 쌍계
도량안내
쌍계사 도량
도량안내도
금당
쌍계사 주련
쌍계사 암자
- 국사암
- 불일암
- 도원암
지정문화재
쌍계사 말사
HOME
도량안내
지정문화재
지정문화재
지정문화재
목록
지정문화재 카테고리
전체
국가문화재
지방문화재
Total 30건
2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20
지방문화재
쌍계사 석등(경남 유형문화재 제28호)
쌍계사 석등(경남 유형문화재 제28호) 지리산의 남쪽기슭에 자리한 쌍계사의 경내에 서 있는 8각 석등이다. 원래는 3단으로 이루어진 받침 위에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올리고 지붕돌을 덮은 후 머리장식을 얹었을 모습이나, 지금은 화사석과 지붕돌이 없어진 상태이다. 아래받침돌에는 복련(覆蓮:엎어놓은 연꽃무늬)을 둘렀고 윗받침돌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앙련(仰蓮:솟은 연꽃무늬)을 조각하였다. 가운데기둥은 가늘고 길며 중간이 부러져 있던 것을 나중에 맞추어 놓았다. 화사석과 지붕돌이 없어진 자리에는 꼭...
19
지방문화재
청학루(경남 문화재자료 제45호)
청학루(경남 문화재자료 제45호)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1930년 쌍계사 주지 손민선사가 건립한 맞배지붕의 2층 누각으로 1985년 지붕 기와를 한 차례 보수하였다. 초심자(初心者) 승려들의 수도 장소로 사용된 곳으로 이와 관련하여 백곡도인(白谷道人)의 청학루 수행기문이 있다. 또한 1902년 8월 면암 최익현(崔益鉉)이 남쪽을 여행할 때 이 지방의 사림 32명과 주지 1명과 함께 창수시(唱酬詩)를 짓고 음사(吟社)를 창립하여 청학루음사(靑鶴...
18
지방문화재
일주문(경남 유형문화재 제86호)
일주문(경남 유형문화재 제86호) 절의 입구에 세워져 있는 일주문은 속세를 떠나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이며, 항상 한마음을 가지고 수도하고 교화하라는 의미의 상징물이기도 하다. 양쪽에 기둥을 하나씩 세워 지붕을 받치고 있는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배치되어 있는 다포식이다. 앞면에는 3구씩·옆면에는 2구씩 배치하여, 처마가 매우 화려하며 공포로 꽉 차 있는 듯하다. 기둥 앞뒤에는 보조 기둥을 두어 ...
17
지방문화재
팔상전(경남 유형문화재 제87호)
팔상전(경남 유형문화재 제87호) 석가모니의 생애를 그린 팔상도를 모신 팔상전은 고려 충렬왕 16년(1290) 진정국사가 처음 지었고, 조선 세조 12년(1466)과 숙종 4년(1678) 그리고 순조 6년(1806)에 수리가 있었다. 지금의 건물은 1978년 고산스님이 보수한 것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여덟 팔(八)자 모양의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으로,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2구씩 포를 배치하였다. 전체적으로 건물높이에 비하여 처마의 길이는 짧다. ...
16
지방문화재
명부전(경남 유형문화재 제123호)
명부전(경남 유형문화재 제123호)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23호로 지정되었다.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봉안하여 좌우에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 협시하고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冥府十王像)을 안치한 곳이다. 명부전은 칠성각, 산신각, 독성각 등과 함께 한국 사찰에서만 볼 수 있는 전각으로 한국 불교의 토착화를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1687년(숙종 13) 성안대사가 창건하였고 1710년(숙종 36) 신민대사가 중수하였다.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5량 구조이며 익공계 맞배지붕집이다. ...
15
지방문화재
나한전(경남 유형문화재 제124호)
나한전(경남 유형문화재 제124호) 석가모니불을 주불(主佛)로 봉안하고 좌우협시로는 가섭존자와 아난존자입상을, 그 주위에 16나한상과 인왕상을 봉안하고 있는 전각이다.이 가운데 가섭존자상은 고승의 풍모가 느껴지고,아난존자상은 지적이고 준수한 풍모를 잘 표현했다. 1641년(인조 19) 벽암(碧巖)스님이 응진당을 창건하였는데,이것이 나한전의 전신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3량 구조로 맞배지붕을 한 익공계 건물이며 지붕 옆면에 풍판(風板)이 있다. 익공의 형태는 출목이 있는 2익공 짜임으로 윗부분에는 연화...
14
지방문화재
육조정상탑전(금당):경남 유형문화재 제125호
육조정상탑전(금당):경남 유형문화재 제125호 쌍계사의 육조정상탑전은 쌍계사 내에 있는 전각으로 중국 불교 선종의 6대조인 혜능대사의 정상, 즉 두개골을 모시고 있는 건물이다. 통일신라 경애왕(재위 924∼927) 때 진감선사가 건물을 세워 육조영당이라 하였으며, 후에 금당이라 불렀다고 한다. 건물 안에는 7층석탑이 있는데 이 탑은 1800년대에 목압사의 석탑을 용담스님이 옮겨 놓은 것으로 그 뒤부터 육조정상탑이 되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기둥 위에서 지...
13
지방문화재
금강문(경남 유형문화재 제127호)
금강문(경남 유형문화재 제127호) 금강문은 일주문 다음에 통과하는 문으로 천왕문과 함께 절에 들어오는 공간으로 불법을 수호하고, 속세의 더러움을 씻어내는 의미있는 장소이다. 이곳에서는 금강역사를 모시고 있는데 금강역사는 불교를 수호하고 악을 벌하는 천신으로 문의 왼쪽에는 부처님을 늘 모시는 ‘밀적금강’이 있고 오른쪽에는 ‘나라연금강’이 있다. 쌍계사 금강문은 신라 문성왕 2년에 진감국사가 지었고, 인조 19년(1641)에 벽암선사가 다시 지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79에 수리한 것이다. 건축양식은 앞...
12
지방문화재
천왕문(경남 유형문화재 제127호)
천왕문(경남 유형문화재 제127호) 쌍계사 천왕문은 숙종 30년(1704)에 박봉스님이 지었고 순조 25년(1825)에 고쳤으며, 현재의 건물은 고산스님이 1978년에 다시 수리한 것이다. 사천왕을 모시는 문으로 사천왕은 부처님께 의지하여 불법을 수호하고 수도하는 스님과 선량한 사람을 돕는 4명의 수호신이다. 동주를 다스리는 지국천왕, 서주의 광목천왕, 남주의 증장천왕, 북주를 다스리는 다문천왕이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가운데 칸은 개방해서 통로...
11
지방문화재
화엄전(쌍계사 소장 불경책판;경남 유형문화재 제185호)
화엄전(쌍계사 소장 불경책판;경남 유형문화재 제185호) 소장되어 있는 불경책판의 규모는 모두 33종 1,743매이다. 이 책판들의 제작 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대부분이 1603년(선조 36) 전후로 쌍계사의 말사인 능인암(能仁庵)에서 개간하여 쌍계사로 옮겨온 것들이다. 이밖에도 쌍계사에서 직접 간행한 것과 승려 문집으로 간행된 것이 포함되어 있다. 소장된 책판에는 1603년 간행된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과 《몽산법어약록(蒙山法語略錄)》, 1604년에 나온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처음
1
페이지
열린
2
페이지
3
페이지
맨끝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 쌍계총림 쌍계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종무소 Tel :
055-883-1901
템플사무국 Tel :
010-6399-1901
Fax : 055-883-6084
E-mail : ssanggyesa@hanmail.net
Copyright ⓒ 2017 SSANGGYESA.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대한불교조계종
출가
템플스테이
쌍계사 다음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