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상탱은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묘사한 불교 회화를 말하는 것으로서 ‘팔상탱화’라 한다. 탱화란 액자나 족자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게 만든 불교회화이다.
여덟 장면은 첫째,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코끼리를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인 도솔래의상. 둘쨋, 석가모니가 룸비니동산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출생하는 모습인 비람강생상. 셋째, 태자가(석가모니부처님의 출가전 이름)왕궁 밖 중생들의 고통을 관찰하고 인생무상을 느끼는 장면인 사문유관상. 넷째, 정반왕(태자의 아버지)의 반대에도 출가를 강행 하는 유성출가상. 다섯째, 설산(雪⼭)에서 신선들과 수행하는 모습을 그린 설산수도상. 여섯째, 태자가 수행 중 온갖 유혹과 위협을 물리치는 수하항마상, 일곱째, 마구니들을 항복받으시고 깨달아 부처님이 신후 녹야원에서 최초로 설법하는 모습인 녹원전법상. 여덟째, 부처님께서 49년 설법을 마치시고 쌍림수 아래에서 열반(죽음)에 드시는 모습인 쌍림열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팔상탱은 모두 8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폭의 장면은 건물과 구름·나무·산을 이용하여 구분 짓고, 각 장면마다 이에 따른 내용을 적어 놓고 있어 그림을 이해하기에 쉽다는 특징이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각 상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수목의 표현은 도식적이지 않고, 일반회화 속의 나무와도 같아 매우 자연스럽고 사실적이다. 각 폭마다 동일하게 화면의 아랫부분에 그림에 대한 내력을 적어 놓았는데, 이 기록을 통해 옹정 6년, 즉 1728년에 일선·후경·명정·최우·원민·처영·신영·영호 등 8명의 승려화가들에 의해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패널형식의 각 폭 모두 주요 내용만을 중점적으로 나타낸 간단한 구도로, 전체적인 구성이 1725년에 그려진 순천송광사팔상도와 비교할 때 색채만 약간 다를 뿐 거의 같은 도상을 보여주고 있어 동일본을 사용하여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석가여래팔상도 가운데 예천용문사팔상탱(1709년)에 이어 비교적 제작시기가 빠른 편에 속하며 공간감과 색채의 조화 등 그에 상응하는 화풍상의 특징도 보여주고 있다. 여유로운 경물의 배치와 함께 일반회화에서 볼 수 있는 수목의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표현기법 또한 18세기 전반의 팔상도나 감로왕도 등에서 종종 보여지고 있어, 당시 또는 앞선 시기 일반회화와의 관계까지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는 데 자료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