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당 수행영역

금당 수행영역

1875년 침명한성枕溟罕醒스님이 쓴 현판에 의하면, 구위舊位라 하여 금당金堂과 동방장東方丈 서방장西方丈과 팔상전八相殿 · 영주당瀛洲堂 · 봉래당蓬萊堂 · 청학루靑鶴樓를 들어서면 금당이 창건당시 육조혜능조사의 영당影堂이고 팔상전이 옛날법당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다른 사찰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영주당 · 봉래당 · 동서 방장 등의 전당들은 한라산 · 금강산 ·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데, 이는 곧 삼신산을 상징하는 것으로 영산숭배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쌍계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하나의 특징은, 진감선사 비문을 보면 진감선사는 지리산 국사암에서 선문을 열어 선법을 전파하니 많은 납자들이 다투어 모여들게 되어, 국사암 남쪽인 지금의 금당영역으로 옮겨와 선禪 가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금당은 육조 영당이고 팔상전은 법당으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초기 선종禪宗 가람의 특징으로서 탑과 회랑이 없고 불보佛寶와 법보法寶에 대한 의미보다는 육조 혜능조사에 대한 존경과 조사에 대한 숭배가 중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부터 2003년까지 동서방장 · 팔상전 · 영주당 ·봉래당을 중건하고 성보전과 방장실을 새로 건립하여 금당, 청학루, 팔상전, 영모전, 선방인 동서방장, 영주당, 방장실, 성보전 등이 현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