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일암
불일암

불일암

쌍계사 뒤 청학동 산기슭 10리 남짓한 곳에 있다. 진감선사가 창건하였으나 불일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가 머물렀다하여 불일암이라 이름하였다.

불일암에는 상불일암 중불일암 하불일암이 있는데 상·중불일암은 터만 있고 현재의 암자는 하불일암으로서 페허가 된 터에 (1911)신해년에 본사의 양용은梁龍隱스님이 복원하여 현재에 이른다.
깍아지른 골짜기가 끊어진 듯이 높고 시내를 가로질러가는 길이 없는 좁고 굽은 절벽이라. 가히 한사람만이 겨우 지나갈 만하다.
언덕에 달아맨 듯하며, 수백길 낭떠러지 아래에 두 연못이 있는데 깊이를 가히 헤아릴 수 없다.

남명南溟 조식曹植의 『두류록頭流錄』에 이르길.
동쪽으로 높고 가파르고 험준하여 조금도 서로 양보하지 않을 듯 버티고 있는 산이 있으니 향로봉香爐峰이요. 서쪽으로 푸른 언덕을 깍아 세운 듯 만길 절벽처럼 서 있는 산이 있으니 비로봉毘盧奉이다.
두서너 마리의 청학이 바위틈에서 때때로 날아 나와 위아래로 빙빙 돌며, 아래에는 검푸른 빛을 띤 못이 있는데 밑이 없는 듯이 깊다.
좌우와 상하로 층층 절벽이 둘러 있으며, 갑자기 돌았다가 갑자기 합해지는 바람과 우레가 서로 싸우는듯하고, 땅이 닫히고 사람이 열린 듯도 하며, 낮도 아니요 밤도 아니며 석수水石도 구별할 수 없다.
이는 신선의 무리와 큰 힘을 가진 교룡과 작은 거북이 함께 숨어 있는 집을 감추고 영원토록 보호하기 위해 사람들로 하여금 가까이 할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